userdel -M [유저명] : 유저 및 홈디렉토리까지 삭제
usermod -d [홈디렉토리 경로] [유저명] : 특정 유저의 홈디렉토리 경로 변경
passwd [유저명] : 패스워드 설정
/etc 에서 vi passwd로 계정 설정내용 확인가능(홈디렉토리 등)
ps -efx | grep [프로세스명] :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상황 프롬프트 창에 전체 표시
grep -i error *.log | grep Oct | grep 2019 : 로그파일 경로에 있는 상태에서 전체 로그파일을 검색하여 2019, Oct가 포함된 에러 로그 모두 출력
top, topas, glance : 수행중인 프로세스 목록 및 메모리 모니터링
<top>
top | grep "name" : 원하는 프로세스만 보기
top -a : 메모리 사용에 따라 정렬
top -d : 업데이트 간격을 조절
top -n : 지정한 횟수만큼 출력
top -p : 프로세스 ID
top -h : 도움말
명령 실행 후 사용하는 옵션
shift + m :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
shift + p :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
shift + t : 실행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
space bar : refresh
k : kill 명령
B : 글자 두껍게 함
q : top 종료
세부 정보 필드별 항목
PID : 프로세스 ID (PID)
USER :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
PRI :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(priority)
NI : NICE 값. 일의 nice value 값이다.
VIRT :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
RES :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
S : 프로세스의 상태
; S(sleeping)
; R(running)
; W(swapped out process)
; Z(zombies)
%CPU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
%MEM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
TIME+ : 프로세스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시간
COMMAND : 실행된 명령어
<glance>
명령 실행 전 사용하는 옵션
glance -j 30 : refresh 간격이 30초
명령 실행 후 사용하는 Command 옵션
c - CPU Report
m - Memory Report
d - Disk Report
g - Process List
a - CPU By Processor
s - Select Process
;s pid 입력
y - Renice Process
w - Swap Space
i - IO By File System
u - IO By Disk
v - IO By Logical Volume
t - System Tables
n - NFS By System
l - Network By Interface
h - Online Help
q - exit (or e)
B - Global Waits
Z - Global Threads
Y - Global System Calls
G - Process Threads
F - Process Open Files
M - Process Memory Regions
R - Process Resources
W - Process Wait States
L - Process System Calls
I - Thread Resource
J - Thread Wait
S - Select Disk/NFS/Appl/Trans/Thread
N - NFS Global Activity
T - Trans Tracker
H - Alarm History
A - Application List
P - PRM Group List
명령실행 후 사용하는 Control Key
h - Online Help
? - Commands Menu
b - Page Backward(or -)
f - Page Forward (or +, space)
r - Refresh Screen
q - exit (or e)
ps -eo user,pid,pcpu,rss,time,cmd --sort -rss | awk ‘print {'$*'}'
ps -ef | grep [ 확인하고싶은 프로세스명 ]
<ls>
-altr -시간 내림차순 정렬
-a: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 출력
-i : 파일의 inode와 함께 출력한다.
-l : 파일 허용 여부, 소유자, 그룹, 크기, 날짜 등을 출력한다.
-m: 파일을 쉼표로 구분하여 가로로 출력한다.
-r : 정렬 옵션이 선택되었을 때, 그 역순으로 출력한다.
-s : KB 단위의 파일 크기를 출력한다.
-t : 최근에 만들어진 파일 순서대로 출력한다.
-x : 파일 순서를 세로로 출력한다.
-R : 서브 디렉토리의 내용을 포함하여 출력한다.
-S : 파일 크기가 큰 순서로 출력한다.
-U : 정렬하여 출력한다.
-1 : 라인당 한 파일씩 출력한다.
<vi>
-w : 저장
-w file.txt : file.txt 파일로 저장
-q : vi 종료
-q! : vi 강제 종료
-ZZ : 저장 후 종료
-wq! : 강제 저장 후 종료
-o : 커서 있는 라인 밑에 출력
-O : 커서가 있는 라인 위에 입력
-I : 라인 시작 부분에 입력
-A : 라인 끝에 입력
끝으로 이동 shift + g
<ln>
ln -s : 링크 걸기
ls -l : 링크확인
<cp>
-a : 원본파일 그대로 유지하며 복사
-b : 복사대상 존재 -> 기존파일 백업 후 복사
-f : 복사대상 존재 -> 강제로 지우고 복사
-i : 복사대상 존재 -> 사용자에게 물어본다
-r : 파일은 복사, 디렉터리는 전체복사
-p : 원본의 모든 속성을 그대로 복사
-s : 원본파일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할 경우 백업파일 생성, 백업파일의 끝에 붙일 확장자명을 지정하는 옵션
<mv>
-b : 이동대상 파일존재 -> 기존파일 백업 후 이동
-f : 이동대상 파일존재 -> 덮어쓸 때 묻지 않고 바로 덮어씀
-i : 이동대상 파일존재 -> 덮어쓸 때 물어봄
-v : 이동 상태 표시
-u : 이동 대상 위치보다 최근 파일 시 이동
<rm>
-*.dat : .dat로 끝나는 파일을 모두 삭제
-rm * : 모든 파일 삭제
-f : 삭제 파일이 없을 경우 아무런 메시지
를 보여주지 않고 넘어간다.
-i :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물어본다.
-r : 일반파일이면 그냥 지우고 디렉터리
일 경우 하위경로까지 모두 지운다.
-v : 삭제되는 파일의 정보를 보여줌
-d : 빈 디렉토리들만 제거
-rm : rm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
--help : rm 명령어 사용법을 출력
<grep>
-b : 검색된 라인에 블록번호를 붙여서 출력
-c : 찾아낸 행의 총수를 출력
-i :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
-s : 에러 메시지 외에는 출력하지 않음
-h : 파일 이름을 출력하지 않는다
-n : 파일 내에서 행 번호를 함께 출력한다
-l : 패턴이 존재하는 파일의 이름만 출력한다
-s : 에러 메시지 외에는 출력하지 않음
-v :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행만 출력
-r : 서브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
<tar>
압축하기 tar -cvf [파일명.tar] [압축할 대상|경로]
압축해제 tar -xvf [tar명]
압축확인 tar -tvf [tar명]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서버시간 동기화 - NTP, hwclock (1) | 2024.08.27 |
---|---|
[Linux] timezone? (0) | 2024.08.26 |
[Linux] Centos6 yum update 에러 (0) | 2023.01.04 |
[Linux] 고정 ip 부여 (0) | 2023.01.03 |
[Linux] Centos 7 방화벽 포트 개방 (1) | 2023.0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