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Linux 환경에서 시간대(timezone)는 시스템의 시간을 정확히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.
- timezone은 UTC(Universal Coordinated Time)를 기준으로 지역 별로 설정되며, 시간대 설정은 서버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를 수 있다.
- Linux에서는 보통 tzselect 또는 timedatectl 명령을 사용하여 시간대를 설정한다.
- timezone 설정은 /etc/timezone 또는 /etc/localtime 파일을 통해 지정된다.
- timezone 설정은 올바르게 설정되지 않으면 서버의 시간이 잘못 표시되거나 로그 및 시스템 이벤트의 타임스탬프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.
- 따라서 Linux 시스템을 설정할 때 올바른 시간대를 선택하고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.
timedatectl
- Local time : 현재 서버에 표시되는 시간
- Universal time : UTC 표준 시간
- Time zone : 초기 설정된 timezone
- ntp : 서버 자동 동기화
→ 현재 시간은 한국 기준 오전 11시 24분이지만, timezone 설정에 따라 KST 시간에 9시간이 더해져 서버에는 20시 24분으로 표시된다.
서버시간 변경
- timedatectl을 통해 서버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.
- 아래는 time zone을 서울로 설정했으나, UTC 시간의 표기가 실제 시간과 일치할 경우의 변경 방법이다.
timedatectl set-timezone UTC //timezone을 UTC로 변경
728x90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cron 표현식 (0) | 2024.08.27 |
---|---|
[Linux] 서버시간 동기화 - NTP, hwclock (0) | 2024.08.27 |
Linux 명령어 정리 (0) | 2023.01.04 |
[Linux] Centos6 yum update 에러 (0) | 2023.01.04 |
[Linux] 고정 ip 부여 (0) | 2023.01.03 |